메뉴 건너뛰기
Extra Form

아래의 URL을 클릭하시면 유튜브 영상으로 설교시청이 가능합니다.

https://youtu.be/dqCHO6oymxY

 

[히브리서 강해 2] ‘옛적에, 마지막에

 

 

. 하나님의 사역

 

 

1. 계시, 복음

기독교의 하나님은 거룩하신 하나님즉 세상의 그 어떤 존재, 어떤 강자, 어떤 신과는 전혀 차원이 다르고, 원리가 다르신 분입니다. 그러니까 하나님과 관련된 모든 것에서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 사람들이 행하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하나님도 그럴 것이라고 예상하거나 추측하면 그것은 대부분 하나님을 왜곡하는 것입니다. 다른 신은 하지 않지만 하나님은 하시는 것, 타종교에는 없지만 기독교에는 있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계시입니다. 어느 신도 자신을 소개하지 않습니다. 자기 뜻을 밝히지 않고, 자기의 진심, 계획, 원리, 방식 등을 드러내지 않습니다. 일종의 신비주의이고, 신의 권위를 유지하는 컨셉으로 인간과 경쟁하면서 어쨌든 인간보다 우월한 위치, 상위의 신분을 차지하려는 몸부림입니다. 하나님은 하나님이 먼저, 하나님이 친히, 하나님이 스스로 하나님에 대한 모든 내용, 모든 정보를 다 드러내고 나타내고 보여주고 알려주고 가르쳐주고 심지어는 경험까지 시켜줍니다. 행여 이해하지 못할까봐 반복적으로, 다양한 입장과 상황을 총 동원하여 가능한 자세히, 가능한 섬세하게, 가능한 친절하게, 가능한 종합적으로, 가능한 모든 것을 다 알려주십니다. 죄의 기준이나 가치나 원리나 방식이 아닌 하나님의 기준과 가치와 권리와 방식으로 행하여서 인간이 즐겁고 신나고 자유롭고 평안하고 행복하게 살기를 바라시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계시하셨고, 하나님에 대한 내용, 하나님이 행하신 일들, 하나님이 성취하신 결과들, 하나님이 이루어신 열매들, 그래서 인간에게 선물로 베풀어 주신 것들을 통 털어 기쁜 소식’, ‘복음이라고 합니다. 기독교는 이 복음을 전하는 것입니다.

 

 

2. 일하시는 하나님

1, 2절의 하나님이 말씀하셨다하나님이 일하셨다와 동의어입니다. 1절에서 옛적에는 구약이고 하나님이 일하셨다고 강조합니다. 어떤 선지자가 탁월했고, 어떤 선지자가 훌륭했고, 어떤 선지지가 준비를 잘했고, 어떤 선지자가 신실했고, 어떤 선지자가 능력이 있었고, 어떤 선지자가 대단한 일을 했고 등등 선지자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구약을 해석하는 기준이 명확하게 정해진 것으로 아주 단순하고 명쾌하게 하나님이 하셨다는 것입니다. 히브리서는 맨 앞에 하나님이 일하셨다고 강조하면서 이어질 히브리서 전체를 이해하는, 해석하는 기준을 제시해 준 것입니다. ‘믿음장으로 알려져있는 11장에 믿음으로 노아는, 믿음으로 아브라함은, 믿음으로 사라는, 믿음으로 이삭은, 믿음으로 야곱은, 믿음으로 요셉은, 믿음으로 모세의 부모는, 믿음으로 모세는, 믿음으로 기생 라합은이 나오지만 이 사람들이 믿음으로 엄청난 일들, 훌륭한 일들, 하나님을 깜짝 놀라게 할 만한 일들을 했다고 칭찬하는 것이 전혀 아닙니다. 옛적에 선지자들을 통하여 하나님이 일하셨다고 강조했기에, 하나님이 부르고, 세우고, 하나님이 통하여 일한 선지자들 중에 몇 사람을 소개하는 것입니다.

 

 

3. 이 모든 날 마지막에

히브리서는 이미 이루어진 일에 대해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미 이루어진 일에 대해서 당시의 성도들에게 자세히 설명하려고 편지를 쓴 것입니다. 1절의 옛적에가 이미 지난 시기, 과거입니다. 2절에서 이 모든 날 마지막에하나님이, 아들을 통해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이 이미 십자가와 부활 사역을 행하셨으니까 이 모든 날 마지막은 미래나 종말이나 세상 끝이 아니고 과거입니다. 9:26그리하면 그가 세상을 창조한 때부터 자주 고난을 받았어야 할 것이로되 이제 자기를 단번에 제물로 드려 죄를 없이 하시려고 세상 끝에 나타나셨느니라세상 끝은 이미 지난 때, 과거입니다. 벧전1:20 ‘는 창세 전부터 미리 알리 바 되신 이나 이 말세에 너희를 위하여 나타내신 바 되었으니말세는 장차 임할 미래, 종말, 예수님이 재림하실 때가 아니라 과거입니다. 본문에 근거해서 정확한 때를 잘 분별해야 합니다.

. 옛적에, 마지막에

 

 

1. 그러나, but

1, 2절이 강조하는 하나는 하나님이 말씀하셨다, 또는 하나님이 일하셨다는 것이요, 또 하나는 하나님이 옛적에도 말씀하셨고, 이 모든 말 마지막에도 말씀하셨다는 것입니다. 다른 표현으로 하나님은 처음부터 일하셨고, 계속해서 일하셨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이 일 하실 때에는 일관성이 있습니다. 처음에는 실수하시다가 시행착오를 거쳐서 나중에는 잘하시는 것이 아닙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것을 하나님의 의도대로, 하나님의 목적대로 잘 행하십니다. 하나님은 일의 순서를 계획하셔서 처음에는 모형과 그림자를 보여주셨고, 때가 되어서 실체를 드러내십니다. 1, 2절에 대해 어떤 번역들은 하느님께서 예전에는,,,말씀하셨습니다. 그러나 이 마지막 시대에 와서는 말씀하셨습니다.’(공동번역), ‘In the past God spoke,,,but in these last days he had spoken.’(GNB)와 같이 그러나, but’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사전에 그러나부사로서, 기본의미는 앞 내용과 다른 내용을 말할 때 쓰여 앞뒤 문장을 이어 주는 말이고, 유의어로는 그렇지만으로 앞 내용과 뒤 내용이 서로 상반될 때 쓰여 앞뒤 문장을 이어 주는 말이라고 나왔습니다. 이런 번역들은 하나님이 옛적에 선지자들을 통하여 여러 부분과 여러 모양으로 우리 조상들에게 말씀하신 것하나님이 이 모든 말 마지막에는 아들을 통하여 우리에게 말씀하신 것이 서로 다른 것, 서로 상반된 것이라고 오해한 것입니다.

 

 

2. 대조일까, 연결일까?

구약의 하나님과 신약의 하나님이 같습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이 하신 말씀과 신약에서 예수님이 하신 말씀이 내용과 성격이 같습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이 일하신 원리와 방식과 신약에서 예수님이 일하신 원리와 방식이 같습니다. 물론 구약에 나타난 현상들과 신약에 나타난 현상들이 다른 것이 있습니다. 히브리서에서 다루는 대표적인 주제가 제사와 대제사장입니다. 구약에는 제사가 강조되었습니다. 그런데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제사 드리라고 강조하신 적이 없습니다. 구약에는 대제사장이 속죄일에 제물을 드림으로 죄를 속해 주었습니다.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속죄일을 지켰다는 내용도 없고, 우리에게 속죄일을 준행하라고 권고하신 적도 없습니다. 이와 같이 구약과 신약이 차이가 나는 것은 구약은 틀린 것이고 신약이 맞다는 것이 아닙니다. 구약은 폐기되어야 하고 신약은 보존되어야 하는 것이 아닙니다. 구약에서 하나님은 실수 하신 것, 쓸데없는 일을 하신 것이고, 신약이 제대로 된 것이 아닙니다.

 

 

3. 옛적에, 마지막에

 

 

하나님은 옛적에도 일하셨고, 모든 날 마지막에도 일하셨습니다. 하나님의 일하심은 의도가 있고, 뜻이 있고, 질서가 있고, 순서가 있고, 절차가 있고, 과정이 있고, 진도가 있고, 전개가 있고, 성취가 있고, 열매가 있고, 결과가 있습니다. 하나님의 일하심에는 어그러짐이 없고, 틀어짐이 없고, 뒤죽박죽이 없고, 오류가 없고, 모순이 없고, 무용한 것이 없고, 혼돈이 없고, 낭비가 없고, 헛것이 없습니다. 그래서 하나님의 사역은 그러나가 아니라 그리고입니다. ‘옛적에는 이랬다. 그러나 마지막에는 저랬다가 아닙니다. ‘옛적에 이랬다. 그리고 또는 그래서 마지막에 이랬다입니다. 1, 2절이 하나님의 사역을 옛적에, 이 모든 날 마지막에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1, 2절이 서로 대조가 된다는 것이 아니라 도리어 1, 2절이 연결된다는 것입니다. 1절이 있었는데 부족해서 2절이 수정되거나 보충되었다는 것이 아닙니다. 도리어 1절이 있었고 이어서 2절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원래 하나님의 의도에 1절이 있었고, 다음 순서로 2절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1절과 2절이 모두 계획되었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1절을 행했다. 그러나 2절을 행했다가 아니라 예정대로, 계획대로, 원래 의도한 대로 ‘1절을 행했고 그리고 2절도 행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사역은 하나님의 뜻에 따라, 순서에 따라, 계획에 따라 진행되었습니다. 옛적에는 선지자들을 통한 사역이 필요했고 마지막 날에는 아들을 통한 사역이 필요했습니다. 옛적에도 일하셨고, 모든 날 마지막에도 일하셨고, 지금도 일하시고 계십니다.